1. 관계대수, 관계해석
1) 관계대수
-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
-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해 연산자와 연산규칙을 제공하며, 피연산자와 연산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
-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
* 종류
- 순수 관계 연산자: Select(시그마/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), Project(파이/제시된 열에 해당하는 속성값만 추출, 중복제거), Join(Cartesian Product(교차곱) 후 Select), Division(나누기)
- 일반 집합 연산자: UNION(합집합), INTERSECTION(교집합), DIFFERENCE(차집합), CARTESIAN PRODUCT(교차곱)
2) 관계해석
-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
-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가 수학의 술어 해석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
- 비절차적 특성, 계산 수식 사용
2. 테스트
- 통합 테스트로 인해 변경된 모듈이나 컴퓨넌트에 새로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
-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의 테스팅을 반복하는 것
- 수정한 모듈이나 컴포넌트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, 오류가 생기지 않았는지 테스트하여 새로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증하기 위해 반복 테스트한다.
>> Regression
3. 함수적 종속
1) 완전 함수적 종속(Full Functional Dependency)
- 어떤 테이블 R에서 속성 Y가 다른 속성 집합 X 전체에 대해 함수적 종속이면서, 속성 집합 X의 어떠한 진부분 집합 Z(즉, X에 Z가 포함)에도 함수적 종속이 아닐 때 속성 Y는 속성 집합 X에 완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한다.
ex) {학생, 학과}가 기본키인 테이블 R에서 '성적' 속성은 {학생, 학과} 둘다 같이 종속적이여야 됨 >> 학생 속성만으로 성적이 결정 X, 학과 속성만으로 성적 결정 X >> 완전 함수적 종속
2) 부분 함수적 종속(Partial Functional Dependency)
- 어떤 테이블 R에서 속성 Y가 다른 속성 집합 X 전체에 대해 함수적 종속이면서, 속성 집합 X의 임의의 진부분 집합에 대해 함수적 종속일 때, 속성 Y는 속성 집합 X에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한다.
ex) '학년' 속성은 기본키인 {학생, 학과} 중 학생 속성만으로 학년이 결정될 수 있음 >> 부분 함수적 종속
3) 이행적 함수적 종속(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)
- X -> Y이고 Y->Z일 때 X->Z를 만족하는 관계
'🏆 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1년 기출] 1,2,3회 모르는 개념 정리 (0) | 2024.04.24 |
---|---|
[실기][1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] (0) | 2024.04.24 |
[실기][9장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] 정리 (0) | 2024.04.20 |
[실기][기출] 2021년 2회 정리 (0) | 2024.04.19 |
[실기][기출] 2021년 1회 정리 (1) | 2024.04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