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인터넷 환경에서의 호스트 상호 간 통신에서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찾는 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로,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라 불린다.
>> RARP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
2. 데이터베이스 설계
1) 개념적 설계: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으로,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수행하며, 요구 조건 명세를 E-R 다이어그램으로 작성한다.
2) 논리적 설계: 현실의 자료를 특정 DBMS가 지원하는 자료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,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, 정규화를 통해 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한다.
3) 물리적 설계: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,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하며, 테이블 정의서 및 명세서가 산출된다.
3.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로, XML로 작성되며 UDDI의 기초가 된다. SOAP, XML 스키마와 결합하여 인터넷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, 클라이언트는 이것을 통해 서버에서 어떠한 조작이 가능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.
>> WSDL(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)
4. 요구사항
1) 기능 요구사항: 시스템이 무엇을 하는지, 어떤 기능을 하는지 등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기를 원하는 기능이나 시스템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의미
2) 비기능 요구사항: 품질이나 제약사항과 관련된 요구사항으로, 시스템의 장비 구성, 성능, 인터페이스, 테스트, 보안 등의 요구사항
5.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및 운영의 편의성 등을 높이기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의도적으로 통합, 중복, 분리하여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
>> 반정규화
6.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- 7장 정리 필요
1) 경계값 분석: 입력 조건은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한 검사 기법
2) 동치 분할 검사: 입력 조건이 유효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입력 자료의 개수를 균등하게 정하는 검사 기법
7.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- 7장 정리 필요
1) 단위 테스트: 코딩 직후 소프트웨어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춰 수행하는 테스트로, 모듈 테스트라고도 불린다.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테스트를 최우선으로 인터페이스, 외북적 I/O, 자료구조, 독립적 기초 경로, 오류 처리 경로, 경계 조건 등을 검사한다.
2) 통합 테스트: 모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테스트를 의미하며, 모듈 간 또는 컴포넌트 간의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검사한다.
8. 인터넷
1) IPv6: 128비트의 주소를 가지며, 인증성, 기밀성,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, 주소의 확장성, 융통성, 연동성이 뛰어나다.
2) IPv4: 32비트의 주소를 가지며, 8비트씩 4부분,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. IPv4는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A 클래스에서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.
9. 모듈 간 통신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집합으로, 복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이뤄지는 프로세스 간 통신까지 구현이 가능하다. 대표적인 메소드에는 공유 메모리(Shared Memory), 소켓(Socket), 세마포어(Semaphores), 파이프와 네임드 파이프(Pipes&named Pipes), 메시지 큐잉(Message Queueing)이 있다.
>IPC (Inter-Process Communicaiton)
10.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, 연계,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으로, Point-to-Point, Hub&Spoke, Message Bus, Hybrid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이 가능한 모듈 연계 방법
>> EAI 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
11. 튜플 수: 카디널리티 / 속성 수: 디그리
12.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
1) 연산(Operation)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에 해당한다.
2) 구조(Structure): 논리적으로 표현된 객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서 데이터의 구성 및 정적 성질을 표현한다.
3) 제약조건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을 의미한다.
13.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
1) 내용 결합도: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데이터, 지역 변수 등을 직접 참조하거나 수정할 때의 결합도
2) 스탬프 결합도: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레코드 등의 자료 구조가 전달될 때의 결합도
3) 공통 결합도: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에 선언된 전역 변수를 사용하여 전역 변수를 갱신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때의 결합도
14. 데이터베이스 보안
- 접근통제: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 흐름을 제한하는 것
-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, 데이터의 소유자가 접근통제 권한을 지정하고 제어한다. 객체를 생성한 사용자가 생성된 객체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받고, 부여된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허가할 수 도 있다.
>> 임의 접근통제, DAC (Discretionary Access Control)
15. 네트워크 및 인터넷 보안
- '세션을 가로채다'라는 의미로, 정상적인 연결을 RST 패킷을 통해 종료시킨 후 재연결 시 희생자가 아닌 공격자에게 연결하는 공격 기법
>> 세션 하이잭킹 (Session Hijacking)
- TCP 세션 하이잭킹은 공격자가 TCP 3-Way_Handshake 과정에 끼어듦으로써 서버와 상호 간의 동기화된 시퀀스 번호를 갖고 인가되지 않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거나 중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.
'🏆 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실기][1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] (0) | 2024.04.24 |
---|---|
[실기][기출]2022년 2회 정리 (0) | 2024.04.22 |
[실기][9장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] 정리 (0) | 2024.04.20 |
[실기][기출] 2021년 2회 정리 (0) | 2024.04.19 |
[실기][10장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] 오답 정리 (0) | 2024.04.16 |